Computer Science 5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간의 연결구조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OSI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로 합니다. 이전 게시물에서는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어떻게 LAN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지 공부했습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했는데요, 이더넷으로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다른 네트워크나 인터넷으로는 전송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이고,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rou..

Computer Science 2023.04.02

[모두의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이더넷 LAN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OSI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장비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데요, 그 규칙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이 이더넷(Ethernet)이라고 합니다. 이전 단원을 소개한 글에서 말했지만 허브는 일그러진 전기신호를 복원하고 약해진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고, 어떤 포트에서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나머지 포트에 전달한다고 했는데요, 이더넷은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사용합니다. 이러한 이더넷에는 더미 허브에서 목..

Computer Science 2023.03.28

[모두의 네트워크]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https://gomduribo.tistory.com/27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규칙 gomduribo.tistory.com 이전 단원에서 OSI모델 구조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전기신호 송신측 컴퓨터에서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컴퓨터에 도착하고 도착한 전기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합니다. 전기신호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습니다. 두 신호의 차이의 밑에와 같이 파형에서 나타납니다. 랜 카드 컴퓨터는 메인보드에 포함되어..

Computer Science 2023.03.25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규칙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OSI 모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는 OSI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습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로, 밑의 그림과 같이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쪽은 데이터를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전달합니다. 데이터를 받는 쪽은 하위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받습니다. TCP/IP모델 위에서는 OSI모델의 7계층이였는데, TCP/IP 모델은 4개 계층이라고 합니다. OSI 모델과 TC..

Computer Science 2023.03.22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첫걸음

아직 학교에서 네트워크 개론을 안들었는데,, 인턴하면서 네트워크 지식이 너무너무 부족해서 모두의 네트워크 라는 책으로 혼자 공부를 해보기로 했다..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패킷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규칙에서는 패킷(packet)을 사용합니다. 즉, 패킷(packet)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을 말합니다. 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한번에 보낸다면 그 데티터가 네트워크 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

Computer Science 202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