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학교에서 네트워크 개론을 안들었는데,, 인턴하면서 네트워크 지식이 너무너무 부족해서 모두의 네트워크 라는 책으로 혼자 공부를 해보기로 했다..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패킷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규칙에서는 패킷(packet)을 사용합니다. 즉, 패킷(packet)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을 말합니다.
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한번에 보낸다면 그 데티터가 네트워크 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너무 많이 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습니다. 목적지에 도착한 패킷은 순서없이 제각각 도착하고 송신측에서 붙인 순서에 따라서 정렬됩니다.
LAN과 WAN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LAN이라고 하는데요, 가정이나 빌딩안과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등을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입니다.
WAN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인데요, LAN과 LAN을 연결하는것으로 생각해도 된다고 합니다. ISP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SK브로드밴드, KT, U+와 같은 사업자를 말합니다.
LAN과 WAN을 비교하자면 LAN은 연결하는 거리가 짧은만큼 신호가 약해져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낮고 속도가 빠릅니다. 반면 WAN은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가정에서 네트워크 구성
집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보통 LAN입니다.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해야합니다.
집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면 ISP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공유기(broadband router, 가정용으로 만든 라우터라고 생각하면 좋음, 최근엔 라우터기능만이 아니라 허브/스위칭 허브/방화벽 기능도 지원)라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1층에서 데스크탑을 유선랜으로 연결하고, 2층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등을 무선랜으로 연결합니다.
회사에서 네트워크 구성
기업에서는 가정과는 다르게 DMZ(DeMilitarized Zone)라는 네크워크 영역이 존재합니다. DMZ란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나중에 자세하게 나온다고는 하지만 기업에서는 주로 서버를 공개하는데, 웹서버, 메일서버, DNS서버를 공개합니다.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기 위해서는 웹서버를, 외부 사용자와 이메일을 주고받으려면 메일서버를,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해서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서버를 외부에 공개하면 됩니다.
회사에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에 둘수 있습니다. 이중 사내 또는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on-premise)라고 합니다.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3.04.02 |
---|---|
[모두의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3.28 |
[모두의 네트워크]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0) | 2023.03.25 |
[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규칙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