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규칙
길벗에서 나온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공부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수업을 아직 듣지 않았고, 책에 있는 내용을 단순 정리하는것이라 틀린내용이 다수 있습니다.
OSI 모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는 OSI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습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로, 밑의 그림과 같이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쪽은 데이터를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전달합니다. 데이터를 받는 쪽은 하위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받습니다.
TCP/IP모델
위에서는 OSI모델의 7계층이였는데, TCP/IP 모델은 4개 계층이라고 합니다. OSI 모델과 TCP/IP모델을 비교하자면 밑의 그림과 같습니다.
TCP/IP모델은 표현계층과 세션계층을 응용계층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각 계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캡슐화와 역캡슐화
데이터를 보내려면 전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의 앞부분에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합니다.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합니다. 헤더에는 데이터를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렇게 전송할 데이터에 헤더를 붙이는 것을 캡슐화라고 합니다. 또한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제거하는것을 역캡슐화라고 한다고 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사용자1인 송신측에서는 응용계층에서 어떤 요청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이후 전송계층에서 전송계층헤더가, 네트워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헤더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 헤더와 트레일러가 데이터에 붙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데이터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수신측에 도착하고 이것을 캡슐화라고 합니다.
역순으로 헤더와 트레일러가 제거되면서 사용자2에게 데이터가 도착합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울 본사의 LAN과 부산 지사의 LAN은 물리적인 거리가 있기때문에 본사 LAN에서 지사 LAN에 접속해서 통신하는것을 어렵습니다.이럴때 VPN을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습니다.
VPN은 인터넷VPN과 IP-VPN으로 나뉩니다. 인터넷VPN에는 거점 간 접속이 있고, 원격 접속 연결이 있습니다. IP-VPN은 MPLS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이 아닌 통신 사업자 전용 폐쇠망을 사용한다고 합니다.